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낙농

원유기본가격협상, 당사자간 입장차 팽팽

생산자 “생산기반 위태…생산비 인상분 충분한 반영을”

[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유업계 “소비 감소·수급상황 악화 우려…인상폭 낮춰야”

 

원유기본가격협상을 둘러싼 생산자와 유업체간 입장차가 팽팽하다.
통계청의 우유생산비 발표에 따라 올해 원유가본가격조정을 위한 협상소위원회(낙농진흥회 1인, 생산자 3인, 유업체 3인)가 지난 9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원유기본가격은 전년도 우유생산비 증감액을 기반으로 조정되는데, 올해부터는 용도별차등가격제 도입과 함께 시장상황도 반영하는 새로운 원유가격산정체계에 의해 협상범위가 달라졌다.
이에 따라 올해 음용유용 원유기본가격은 생산비 증가액(116원)의 60~90% 수준인 69~104원, 가공용 원유기본가격은 경영비 증가액(109원)의 80~120% 수준인 87~130원에서 협상이 이뤄진다.
규정상 원유기본가격 조정을 위한 협상은 통계청 생산비 발표 이후 6월 한 달 동안 진행하고, 협상이 완료되면 낙농진흥회 이사회를 거쳐 8월 1일부터 조정된 가격을 적용한다.
하지만 지난 12일까지 3차례의 협상이 진행된 현재, 생산자와 유업체간 의견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합의에 이르는데 기한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생산자측은 생산비 폭등으로 인한 농가 경영악화를 이유로 생산기반 유지를 위해서라도 충분한 가격인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 지난해 젖소 두당 순수익은 152만9천원으로 37.2% 감소하면서 수익성 악화와 부채 증가로 인한 농가 폐업이 이어져 지난해에만 농가 133호가 문을 닫은 상황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원유가격에 우유생산비가 1~2년 뒤늦게 반영되는 구조로 농가들이 일정기간 생산비 상승폭을 감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용도별차등가격제 시행으로 정상원유가격을 받는 음용유용 물량이 줄어들었다는 점, 올해 최대폭으로 원유가격을 인상하더라도 과거 제도(104~127원/L)와 비교하면 최소폭에 불과하다는 점 등 농가 어려움을 일부나마 해소하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가격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것.
반면, 유업체측은 원유기본가격인상에 따른 수급상황 악화를 우려하며 인상폭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업체로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큰폭으로 원유기본가격이 오르더라도 우유제품 가격 인상엔 부담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이미 우유소비 감소로 백색시유로는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우유제품가격 인상으로 심리적 저항선이 넘어서면 소비는 더욱 위축되고, 원유소진을 위해 저가판매에 나서게 되면서 결국 경쟁력이 약한 중소규모의 유업체부터 줄도산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생산자와 유업체 모두 심각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는데다, 협상금액도 높다보니 이해당사자간 의견을 좁혀나가는 과정에 진통이 예상된다”며 “무엇보다 가공유용 원유가격은 음용유용 협상이 어느정도 가닥이 잡혀야 시작할 수 있는 만큼 복잡한 셈법에 협상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