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농특위, ‘수출1천억 달러’ 식품산업 비전 제시

국가식품클러스터서 식품기업 현장 간담회 개최

 

반도체산업 규모 맞먹는 수출산업 육성 방안 논의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장태평)가 지난 6월 27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국가식품클러스터에서 ‘식품기업 현장 간담회’를 개최, 우리 식품산업을 수출액 1천억 달러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수출 확대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식품산업 육성 간담회<사진>는 농특위 장태평 위원장과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김영재 이사장 등 관계기관은 물론 CNC커피, 메디프레소, (주)그린로드 등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입주한 기업들이 참석해 K-Food 수출 확대를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농특위가 식품산업 수출 육성의 시작점으로 익산을 찾은 것은 첨단 기술을 실현시킬 수 있는 국가식품산업클러스터가 자리잡고 있는데다 근거리에 식품 수출의 허브가 될 수 있는 새만금이 있기 때문.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은 2008년 38억 달러에 불과한 농수산식품 수출을 100억 달러로 늘리겠다는 목표로 추진되었으며, 그 결과 지난 2021년 농수산식품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 지난해 수출 120억 달러라는 쾌거를 이뤘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우리나라가 세계 교역시장에서 차지하는 수출의 비중이 3%임을 감안하며 5조 달러에 육박하는 전 세계 가공식품 교역에서 우리나라가 최소 1천억 달러 이상의 수출을 달성할 수 있는 성장 잠재력과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현재 우리나라 수출액 1천억 달러 이상은 반도체 산업 하나다.
농특위는 우리 농수산식품산업의 새로운 도약과 미래를 위해 식품산업이 미래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걸림돌은 제거하고 농어업의 성장과 식품 수출의 기반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농특위 장태평 위원장은 “이미 연구 기반과 기술 지원력을 갖추고 있는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식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이끌고 중국‧동남아를 겨냥해 새만금이 식품산업의 허브 역할을 담당한다면 현재 1천300억 달러를 수출하는 네덜란드 푸드밸리에 버금가는 아시아의 푸드밸리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농특위가 농어업을 견인하는 미래 핵심산업으로서 식품산업 성장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