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발생한 흑해곡물협정 중단에 대응해 지난 7월 27일 민간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국제곡물 수급상황 및 국내 영향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곡물 유통업계, 제분‧사료업계 등 관련기업들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흑해 지역 불안정성에 따른 국제가격 상방 압력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지만 지난해 수준의 급등세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밀, 옥수수의 전 세계 생산 전망이 양호하고 육로를 통한 우회 수출도 일부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농무부 자료에 따르면 2023~2024년 세계 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8% 증가하고 옥수수는 6.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식품부는 국제곡물 불안정성 확대에 대응해 국제곡물 가격과 해외 동향 등을 일 단위로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위기시 원료구매 자금 금리 인하 등 금융·세제지원을 신속하게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