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를 위해 첫째 기계장치를 업종별로 전문 계열화해 재료, 부품, 제품 등 기계장치의 규격 및 등급 등에서 불필요한 것을 줄이기 위한 단순화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생산 공급체계를 구축해 최종 생산단가를 줄여야 한다. 둘째 부품의 표준규격화를 통해 수리용 부품의 원활한 공급으로 고장수리(A/S)에도 신속히 대처해 기계시설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축산농가에서 필요한 제품을 쉽게 찾아보고 구입할 수 있는 창구 정보가 다양하게 제공돼야 한다. 우리 축산기자재 산업은 국제 협약에 따라 보조금지원 축소와 사육여건 악화로 인한 수요량 급감의 위기에 처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수 축산기자재 생산업체 발굴, 영세율 적용품목 확대, 기술표준원 등을 통한 축산기자재 표준화, 정책사업 우선구매 품목지정 확대를 추진한다면 국가경제 발전의 큰 축으로 발전하리라 확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