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소 도축·가격연동제 적극적 동참 유도 군납 확대·부정유통 차단·소비홍보 강화 약발 미흡시 정액공급량 조절 등 특단조치 농식품부는 한우가격 급락의 원인을 290만두로 추산되는 한우사육두수 과잉에 대한 부담과 소비부진 등 두 가지로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 26일 소(한육우) 값 동향 및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권찬호 축산정책관은 “현 소 값 하락의 원인을 크게 수요를 넘는 한우사육두수에 대한 부담과 가격·안전성 등의 이유로 인한 한우소비부진현상"이라고 진단했다. 덧붙여 “과거의 상황으로 미루어봤을 때 사육두수가 향후 1~2년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며, 지금처럼 낮은 수준의 소 값도 장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농식품부는 적정사육두수를 유지하기 위해 암소도축을 적극 유도하고, 소비촉진을 위해 TV등 매체를 통한 소비홍보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식육점 및 음식점의 소비자가 인하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군 급식물량을 확대하는 한편, 식육점 및 음식점의 원산지단속을 강화해 부정 둔갑판매 차단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특히 이 같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소 값이 안정되지 않을 경우 송아지생산안정제 개편이나, 과잉사육농가에 대한 정책지원 중단 및 정액공급량 조절 등 특단의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혀 관심이 모아진다. 실제 암소도태의 필요성에 대해 그동안 수차례 강조해 왔지만 사육현장에서는 이에 공감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올 상반기 도축두수를 분석해본 결과 전체 도축물량은 지난해 동기간 대비 증가했지만 암소의 도축두수는 오히려 감소했다. 사육현장에서도 일부 강력한 드라이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반면 안 그래도 농가들이 어려운 상황인데 정부가 결국 농가들을 압박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의 목소리도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