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가 전국 방역기관 최초로 유용미생물을 생산할 수 있는 ‘EM연구센터’와 FMD, AI를 각각 검사할 수 있는 생물 안전3등급 시설인 ‘해외전염병진단센터’를 갖추고 지난 21일 축산위생연구소내에서 개장식<사진>을 가졌다.
이날 개장식에는 김문수 도지사, 이삼순경기도의회 부의장, 박용호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조재록경기농협본부장, 이주호 가축방역본부장, 서응원 남양주축협장, 윤기섭양주축협장, 김건호한돈협회 부회장, 김인필경기한우협동조합장, 이성식 경기도 수의사회장, 박호근 한돈협 경기도지회장 등 200여명이 참석해 개장을 축하했다.
이날 개장한 EM연구센터는 887㎡ 규모에 EM 배양기 6대와 저장조 5대, 실험실, 저온저장고, 일반창고 등 연간 520톤의 유용미생물을 생산·보관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2010년 전국에 창궐해 축산농가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 FMD의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이 연구센터 건립을 추진해왔다.
이날 함께 문을 연 해외전염병진단센터는 생물안전3등급 연구시설로 고위험 병원체를 다루는 특수 실험실이다. 이 시설은 424㎡ 규모로 FMD, AI 각각의 실험실이 있고, BL2실험실, 멸균실 등을 갖췄다.
연구소는 이 실험실에 대해 지난 5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로 허가를 받았으며, 이에 따라 과거 중앙기관에서만 검사할 수 있는 FMD, AI 등과 같은 전염병 검사를 경기도에서 직접 할 수 있게 됐다는 데 의미가 크다.
이날 김문수 지사는 “이번 EM연구센터와 해외전염병진단센터를 개장하게 됨으로써 경기도는 FMD자체검사를 할수 있게 되어 질병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 친환경축산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우리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세계 제1의 축산업으로 만들려는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핸드폰, 자동차는 되는데 왜 축산업은 안 된다는 의식을 갖는지 모르겠다.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축산을 찾아내 친환경 선진축산으로 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 “FMD, AI 등 고위험 병원체를 직접 검사, 신속히 대응하여 축산농가의 피해를 방지하겠다”며 “유용미생물 생산·공급으로 친환경 축산을 유도해 경기도 축산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