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한우

소 생산비 일본이 최고…한국·미국·중국 순

[축산신문 신정훈 기자]

 

두당 소득지수는 중국이 가장 높아
함영화 대표, 사양관리세미나서 소개

 

소 비육에 들어가는 생산비용은 일본이 가장 높고 우리나라, 미국, 중국 순인 것으로 분석됐다. 조수입도 일본(화우)이 가장 높고, 한국(한우), 미국(육우), 중국(육우) 순으로 나타났다.
농협축산경제(대표 이기수)가 지난 13일 농협안성교육원 상생관에서 일선축협 축산컨설턴트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사료 사양관리 기술 세미나에서 함컨설팅 함영화 대표는 주요 국가별 한우(육우) 생산비용을 비교 분석한 자료를 소개했다. 생산비용 비교분석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했다.
함 대표가 소개한 자료에 따르면 한우 두당 조수입은 593만6천원(2013년)이며, 일본 화우는 846만5천원(2012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국 육우 조수입은 179만원(2013년), 중국 육우 조수입은 164만6천원(2012년)이었다. 생산비용은 일본이 830만5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은 534만5천원으로 두 번째였다. 미국은 170만9천원, 중국은 113만7천원으로 분석됐다. 두당 소득은 한국이 59만1천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으며, 중국이 50만9천원으로 두 번째로 나타났다. 일본은 16만원, 미국은 8만1천원으로 분석됐다. 생체중량은 일본 756kg, 한국 718kg, 미국 590kg, 중국 397kg이었다. 생체 100kg을 기준으로 한국의 두당 소득을 ‘100’으로 봤을 때 중국의 소득지수는 ‘155’, 일본은 ‘25’, 미국은 ‘16’으로 비교됐다.
함 대표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2014년 자료를 보면 2013년 세계 소고기 생산량은 지육기준으로 6천768만 톤으로 추정된다며 이 중 미국이 1천176만 톤, 브라질 968만 톤, EU(28개국) 747만 톤, 중국 564만 톤, 인도 385만 톤, 아르헨티나 285만 톤 순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은 50만5천 톤, 한국은 38만2천 톤이라고 덧붙였다.
함 대표는 한우 사육기간은 세계에서 가장 길다고 소개했다. 2013년 한우 비육우 사육일수는 719일로 23.6개월에 달했다. 일본의 화우 거세우는 20개월, 미국 육우는 9개월, 중국 육우는 199일로 사육기간이 조사됐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