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무기질 비료가격 인상분 80% 이내 지원
사료, 원료구매 금리인하·할당증량 국한
사료업계 “현실적 지원대책 절실” 호소
농림축산식품부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 지원 정책을 두고 비료와 사료간 극명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중국의 무기질비료 수출 전 사전검사제도 도입과 유럽의 천연가스 가격 급등 등으로 국제 비료 원자재가격이 오름에 따라 농업인 부담완화를 위해 ‘2022년 정부 예산 의결서 부대의견’을 반영, 지난 1월 3일부터 무기질비료의 가격 인상분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일반용 무기질 비료 가격 인상분의 80% 이내를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3월 28일부터는 원예용 무기질 비료도 순차적인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사료업계 지원과는 큰 차이가 느껴진다.
사료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사료 생산에 필요한 옥수수, 대두박, 소맥 가격이 크게 올랐다. 국제 곡물가 상승과 해상운임비, 환율 등이 반영된 것이 원인이며 설상가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이상기온에 따른 작황부진까지 맞물려 원자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료와 사료 모두 국제 정세에 의해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랐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비료의 지원에 비교했을 때 사료의 지원은 규모가 매우 적은 수준이다. 농식품부가 원자재 가격 상승을 근거로 내놓은 사료업계 지원 대책은 사료와 식품 원료구매자금 금리를 기준 2.5~3.0%에서 2.0~2.5%로 0.5%p 인하하고 사료곡물을 대체할 수 있는 원료에 대해 할당물량을 증량(겉보리 4→10만톤, 소맥피 3→6만톤)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일부 배합사료 업체들은 최후의 보루라고 볼 수 있는 가격 인상을 단행했거나 단행을 고려하고 있다. 결국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은 업체들이 떠안고 있는 상황으로, 업체들은 더 이상은 버티기 힘들다며 정부의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사료업계는 보여주기식 정책이 아닌 현실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