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해외 순방을 마친 대통령이 여독이 채 풀리기도 전에 한미쇠고기 협상결과에 잔뜩 성나있는 ‘농심’ 챙기기에 나섰다. 1만여 한우인들의 궐기대회 직후인 지난달 26일 일선 한우농장을 방문,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등 “농가들의 민심을 잡아야 한다”는 정부 관계자들에 대한 당부를 직접 실천에 옮기고 있는 것이다.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는 한우산업에 대한 국가 최고지도자의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분명 의미가 크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방문이 한우산업 전체가 아닌 ‘1%’ 의 앞서가는 농민에게만 관심이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의 선도 한우농가는 미산 쇠고기 수입개방 여부와 관계없이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 오히려 기회가 주어진다면 해외시장을 공략, 우리가 가진 우수유전자인 한우를 세계시장에서 널리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우산업 전체를 이들 1%가 나머지 99%를 대신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전국의 한우농가는 대략 20만명이다. 이중 90% 가까운 농민이 10두 미만의 부업형태로 한우를 키우고 있다. 2백만두를 웃도는 우리 한우사육기반을 지탱하는 주춧돌인 것이다. 이들에게 300두 이상의 규모화 된 모범농장 사례를 보여주며, “봐라 이렇게 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하면 십중팔구는 “딴 나라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반응이다. 쉽게 말해 아직 기어 다니지도 못하는 아이에게 뛰기를 강요하는 것 밖에 안 된다는 것이다. 물론 부업형태의 축산이 옳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우리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 산업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존재하듯이 우리 농업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호 보완적 기능을 인정하고 그에 걸맞은 정책을 수립, 전개하듯이 농업에 대해서도 똑같은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대다수의 농가가 미국산 쇠고기 개방에 아우성치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그런 보통농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들을 배려한다면 한우농가들은 어느 순간 자리를 털고 일어나 걷게 될 것이다. 상위 1% 수준의 위만 보는 대통령이 아닌 보통 수준의 농가를 생각하는 대통령이 됐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