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주대 기술·가정교육과 김선효 교수팀이 발표한 ‘우유와 두유류의 소비시장 추이 및 영양성분에 따른 효능 비교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드러났다.
김 교수팀은 2012~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천257명을 ‘우유를 하루 반 컵 씩 주 3회 마시는 그룹’, ‘우유와 두유를 일절 마시지 않는 그룹’, ‘두유를 하루 반 컵씩 주 3회 마시는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우유를 주 3회 마시는 그룹의 칼슘 섭취 불량률(66.9%)은 우유와 두유를 마시지 않거나(76.8%) 두유를 주 3회 마시는 그룹(73.8%)보다 낮았으며, 단백질, 비타민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의 섭취불량 비율 역시 타 그룹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우유와 두유를 전혀 마시지 않는 그룹이 칼슘 섭취 불량일 가능성은 우유를 주 3회 이상 마시는 그룹보다 1.8배, 두유를 주 3회 마시는 그룹보다 1.5배 높았다.
김 교수팀은 이 연구는 칼슘을 필요량만큼 섭취하기 위해선 우유 등 유제품을 더 많이 섭취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교수팀은 시중에 유통 중인 우유(41개 제품)와 두유(66개 제품)의 칼슘 함량도 조사했다. 일반 흰우유, 저지방 우유, 칼슘강화 우유의 100㎖당 평균 칼슘 함량은 각각 105㎎, 118.1㎎, 170㎎이었으며, 일반 두유, 고칼슘·고단백 두유, 약콩 두유는 각각 19∼270㎎, 130∼230㎎, 70∼150㎎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고서는 칼슘이 부족한 두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품의 대다수가 칼슘을 첨가하고 있으며, 이밖에 식물성음료는 적은 비타민, 무기질을 보완하기 위해 가공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