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계란자조금 대의원회서 논의 예정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계란자조금 사무국의 오송 이전이 화두로 떠올랐다. 이에 대해 운영 효율 개선을 이유로 환영하는 측도 있는 반면, 일각에서는 대외 활동을 활발히 해야 하는 자조금 사무국이 서울을 벗어나는 것이 오히려 비효율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김양길) 사무국은 현재 서울 서초구에 위치하고 있다. 이를 대한산란계협회(회장 안두영)가 위치한 충북 오송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같은 사항이 본격적으로 거론된 것은 지난 5일 있었던 산란계협회의 정기총회서 ‘계란자조금 관리 개편 권고안’이 의결되면서 부터다.
산란계협회는 현재 계란자조금이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이 자조금을 납부하는 회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의무자조금임에도 불구하고 거출 자체가 원활치 못한 것에 대해 지적하고 나섰다. 또 생산자단체(산란계협회)와 계란자조금이 별도 운영되고 있어 이에 따른 관리·운영비용 등 예산이 중복 지출되고 있는 점도 문제 삼았다.
이에 산란계협회는 협회 사무실과 자조금 사무국을 통합(서울 → 충북 오송)하고, 자조금이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 간행물 등도 협회와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자조금 측에 권고키로 했다. 아울러 이번 권고안에는 협회와 자조금의 통합적 관리를 위해 산란계협회의 전무가 자조금 사무국의 전무를 겸임토록 하는 조직 개편안도 담겼다.
산란계협회 안두영 회장은 “협회와 자조금이 함께 운영되는 방안이 협회 대의원들 간에 논의가 있어오던 중 사무실 이전 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꾀하는 것이 맞다고 의견이 모아졌다”며 “이런 의견을 계란자조금 측에 전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 정부의 정책 기조가 생산자단체와 자조금의 분리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그 의도가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자조금의 통합운영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 같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이를 허가할지 자체도 의문”이라면서 “자조금 통합은 자조금법과 관련 지침을 세밀히 살피고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몇몇 계란자조금 대의원들도 “계란자조금의 활동(인식개선, 소비홍보) 자체가 수도권에서 이뤄지는 비중이 많은 만큼, 사무국의 오송 이전은 오히려 비효율적”이라면서 “사무국이 서울에 오랜기간 위치해 있던 만큼 당장 이전비용, 직원들의 통근 문제도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협회에서 전달한 계란자조금 관리 개편 방안에 대해서는 추후 열릴 대의원회에서 심도 있게 논의될 예정”이라고 밝혀 오는 20일로 개최가 예정된 계란자조금 대의원회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