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2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인도·중국축산, 한국 크게 위협

■ 기고 / FAO 국제회의를 다녀와서


남인식 부장 <농협중앙회 축산컨설팅부>

印 최저 우유생산비·中 정부 양돈업 육성 주목
사료자원 확보 등 대비를 


지난 16일부터 17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아시아 지역 축산업 발전 정책을 모색하는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주관 국제회의가 열렸다. 
아시아 각국의 축산업 현상을 진단하고 축산농가들의 가난 해결과 경제 여건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인 대안과 경험들이 논의된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발표된 내용 중 세계 축산업에서 아시아 축산업의 위치와 특히 최근에 엄청난 속도로 발전된 인도와 중국의 축산업 현황에 관한 주목할 내용이 있어 몇 가지로 요약해 소개한다. 특히 인도와 중국은 최근 우리와 자유무역협정을 추진 중인 나라들로 이들의 축산업의 규모나 정책방향에 대한 대비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됐다. 

◆ 인도, 최대 쇠고기 수출·우유 생산국

우선 주목할 점은 인도 축산업의 규모가 우리가 아는 정도를 훨씬 초월하는 엄청난 규모라는 것이다. 특히 인도는 소 사육두수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종교적인 이유로 쇠고기 소비를 하지 않아 물소를 중심으로 한 쇠고기 수출로 세계 최대 쇠고기 수출 국가로 성장하고 있다. 올해도 152만톤을 수출해 호주 142만톤, 브라질 135만톤의 수출량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우유 생산량은 연간 1억1천만톤에 달해 미국을 능가하는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 1인당 우유소비량도 ’83년 44.7kg에서 ’10년 57.1kg으로 최대 우유 소비국으로 발표됐다. 특히 인도에선 우유 대부분이 영세규모의 농가들이 생산해 역설적으로 생산비가 가장 낮다.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우유 1톤당 유대가 덴마크 468달러, 미국 372달러, 뉴질랜드 331달러인 반면 인도는 303달러에 불과했다. 이런 생산비를 기반으로 ’09년에만 2억 달러의 유제품을 수출했다. 그 중 93.1%가 아시아지역에 수출된 것으로 발표됐다. 우리의 우유 생산비와 시장 규모를 감안하면 반드시 대비가 필요한 대목이다.

◆ 중국, 세계 대두박 거래량의 85% 수입 전망

다음은 중국 축산업에 대한 국가적인 육성책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양돈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국은 국가 핵심정책으로 돼지고기가 쌀과 같은 식량자원 차원에서 충분한 양이 안정적으로 공급돼야 한다는데 정책방향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런 지원책에 따라 중국 정부는 양돈산업 육성에 25억위안(4억달러)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모돈 1두당 100위안의 보조금, 모돈 및 종모돈에 대한 보험지원, 무료 예방백신, 우량 종돈 보조, 500개 대규모 양돈 단지 육성 및 300개 종돈장 지원, 25% 법인세 면세 등 말 그대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양돈업 육성을 위한 모든 정책적인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이에 힘입어 현재 중국은 전 세계 돼지 사육두수의 55%인 6억6천만두를 사육하며 돼지고기 소비량의 49%인 5천만톤을 소비하고 있다. 사료곡물 수요도 엄청나다. 현재 전 세계 대두박의 60%를 수입하고 있는 중국은 향후 10년간 전 세계 교역량의 85%를 수입할 것으로 이번 회의에서 전망됐다.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축산물 거래는 국경 간 검역조건 차단으로 보호정책을 유지한다고 하지만 반드시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새삼 느꼈다.
또한 아시아 각국의 전략적인 특성에 따라 경쟁력을 갖춘 업종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태국의 민간 계열업체의 양계산업과 양돈산업 장악력은 우리나라 동종업계의 규모를 초월하는 것으로 이들은 이미 일본 닭고기 시장을 장악하고 동남아시아 시장은 물론 중국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대규모 축산기업의 그늘에 가려진 아시아 각국의 영세 축산농가에 대한 관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됐다. 국제식량농업기구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가축을 사육하며 하루 2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10억명의 인구 중 6억명 정도가 아시아권에 있다. 그만큼 아시아 지역의 축산업 발전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이 국제식량농업기구의 입장이다.
이밖에 축산업 발전에 따른 다양한 사료자원 확보 방안과 가축 유래 질병에 대한 국제적인 공조 방안 등도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여겨졌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