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질오염 유발 폐수 공공처리장
농식품부, 자원화 수단 공동자원화 시설
축산분뇨를 바라보는 환경부와 농식품부 시각차에 따라 처리방법과 용어사용에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환경부는 가축분뇨를 오염성분이 많은 폐수라고 본다. 이 때문에 무단방류될 경우 수질을 오염시키고, 냄새를 유발한다고 판단해 대부분 생활하수와 연계해 정화처리를 한다. 그 처리시설의 경우 공공처리장이라는 용어를 쓴다.
이러한 공공처리장은 지난해 기준으로 94개가 설치돼 있고, 지자체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반면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분뇨를 자연순환농업을 이끌 주요 수단으로 접근하고 있다. 퇴비·액비·에너지 등으로 자원화해 경종농업과 축산업이 함께 윈윈할 수 있다고 여기고 있다.
그 처리시설을 두고서는 공동자원화시설이라는 용어를 쓰며, 수질 등 환경오염 방지에 힘쓰고 있다.
올해 현재 공동자원화 74개소(34개소 공사중), 액비유통센터 204개소가 가동 중이며, 축협 등 영농법인이 운영주체다.
환경부 역시 이를 인식하고, 최근에는 농식품부와 같이 가축분뇨를 자원화 방향으로 점차 전환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