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득 환 교수(한경대학교 동물생명응용학부) 2019년말 기준 우리나라 낙농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약 6천300농가, 40만두를 기르고 있다. 이중 착유우는 약 20만두로써 호당 평균 64두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사육동향을 살펴보면 사육두수와 사육농가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나 100…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환경문제는 한 사람 또는 한 농장의 문제라고만 할 수 없다. 그 사람 또는 그 농장이 포함된 사회와 그 외의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사회는 복잡하게 엮여 있는 구성원 및 집단, 그리고 그들의 (작은) 사회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적(보이며…
이 명 지 대표((주)안씨젠) 사이가 나쁜 관계, 해결이 잘 안 되는 갈등관계를 일컫는 단어로 ‘견묘지간(犬猫之間)’ 이 사용된다. 얼마전 축산현장을 찾았다가 양축농가와 환경부서, 시골 마을의 생산자와 외지에서 휴양을 위해 귀촌을 한 민원인의 ‘다툼’과 맞닥드리게 됐다. 축산냄새를 다루는 필자 입장…
김 동 균 이사장(前 상지대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정보의 홍수에 치이며 사는 현대인에게 자신의 현실과 직결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소식을 전하면 흔히 ‘그걸 내가 왜 알아야 하나?’를 연발한다. 불과 2세기 전만 해도 서울 인왕산에 호랑이가 살았고, 삼라만상의 거의 모든 현상이 신의 영역에…
윤 요 한 교수(숙명여자대학교) 김치나 된장과 같은 발효식품은 우리가 오래전부터 소비해온 대표적인 식품이다. 과거에는 건강의 목적보다는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들을 오랜 시간 보관하면서 섭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효기술들이 발달해왔다. 근래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발효식품이 장수와 관련성이 있다는…
전중환 농업연구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1. 프롤로그 2018년, 세계를 시끄럽게 했던 ‘중미의 카라반’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미국으로 향하는 수많은 이민자 행렬과 이를 막기 위한 미국의 국경지대 병력투입 등등 연일 세계의 이목이 중미의 카라반에 집중되었다. 이 중미의 카라반 진원…
김유용 교수(서울대학교) 지난해 9월 17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ASF가 첫 발생한 이래, 우리나라를 뒤흔들었던 악몽같은 시간이 지나고 있다. 10월 9일 양돈장에서는 마지막으로 발생했지만 지금도 야생멧돼지에서 ASF바이러스가 간간히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DMZ 접경지역 많은 양돈농가들의 희생에도…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제2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가 2019년 12월 2일부터 15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렸다. 이번 당사국총회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2015년에 채택된 파리협정의 이행에 필요한 17개 이행규칙 중 2018년에 열린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채…
김 동 균 이사장(前 상지대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누구에게나 자기에게 당면한 가장 시급한 과제가 가장 중요하다. 젊은 사람에게는 해결해야 할 일의 개수와 빈도가 높고, 나이 들면 그 반대 상황이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일 복 많은 사람에게는 지긋한 나이에 이르도록 여러 일이 찾아오…
윤 요 한 교수(숙명여자대학교)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발표되는 식품안전사고를 보고 소비자들은 관련제품이나 관련 회사제품 구매를 중단하곤 한다. 이러한 반응은 곧바로 관련제품 또는 관련회사의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지속되는 매출 감소로 인해 회사의 경영이 어려워지는 것까지 연결될 수 있…
류 경 선 교수(전북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최근 일련의 사건들이 발생하며 안전한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욕구가 증대하면서 닭에 대한 동물복지 사육의 필요성도 제기 되고 있다. 토종닭은 동물복지규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품종으로 이러한 사양관리 시스템에서 사육을 통하여 보다 활동적이며 건강함으로…
이 명 지 대표((주)안씨젠) 갈등지수 2위 공정성의 사전적 의미는 공평하고 올바른 성질을 뜻한다. 이 경우의 ‘공평’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고름-균등(均等)을 말한다. 우리나라 헌법과 교육기본법에는 공정성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그 누구도 이를 훼손하지 않고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