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6차산업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농업인 등을 현장에서 밀착지원하기 위해 올해부터 광역 지방자치단체(9개도)별로 ‘6차산업화 지원 협의체’를 구성·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6차산업화 지원협의체’는 총괄기능을 수행하는 주관기관을 중심으로 기획·연구, 기술지도, 사업화 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는 기관 간 협의체 형태로 구성되며 6차산업화 추진 과정상에 필요한 현장 중심 지원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로, 기술, 사업화, 경영 전문가 등으로 현장 지원단을 구성하여 시·군별로 창업, 관련 정책 안내, 품질관리 등에 대해 전문 맞춤형상담을 실시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6차산업화 추진과정상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규제를 포함한 현장의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취합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자원조사부터 사업계획 수립, 컨설팅 등을 통해 지역별 특성을 살린 6차산업화 시범모델 마을을 육성함으로써 주민주도의 다양한 6차산업화 모델을 확산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각 도에서는 지원협의체 구성(안)을 마련하고, 4월 중에 협의체 출범식을 가질 계획이다.
가장 먼저 경상북도에서는 지난 14일 경북농민사관학교에서 ‘경북 농업 6차산업 활성화 지원센터’를 출범시키고, 경북의 6차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어 제주도가 지난 1일 출범식을 가졌고, 경기·충북도는 15일, 충남도는 23일 출범 일정을 잡고 준비작업에 한창이다. 강원·전북·전남·경남도 4월 중 출범을 위해 막바지 조율을 하고 있다.
농축산부 박성우 농촌산업과장은 “지역별로 6차산업화 지원 협의체가 구성되면 향후 6차산업화 관련 전문기관으로 운영되며 현장 농업인 등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지역에서 6차산업화 추진 분위기가 더욱 고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