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5 (월)

  • 흐림동두천 13.4℃
  • 흐림강릉 9.7℃
  • 흐림서울 12.8℃
  • 흐림대전 12.6℃
  • 흐림대구 11.9℃
  • 흐림울산 10.8℃
  • 흐림광주 14.3℃
  • 흐림부산 12.2℃
  • 흐림고창 13.7℃
  • 흐림제주 15.4℃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11.5℃
  • 흐림금산 12.7℃
  • 흐림강진군 12.4℃
  • 흐림경주시 10.8℃
  • 흐림거제 12.5℃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한우

<기자수첩>한우인들이 ‘선제적 대응’을 외치는 이유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지난달 열린 한우자조금대의원 총회에서 한우수급조절을 위해 40억 원의 예산 투입이 결의됐다. 한우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한우농가들이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 자체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한우산업은 오래전부터 주기적으로 일명 비프 사이클(Beef-Cycle)이라고 말하는 가격등락을 되풀이해왔다. 하지만 2010년을 지나면서 비프 사이클은 기존 모습과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과거 한우가격은 수급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급 뿐 아니라 질병이나 이슈 등 다양한 요인들이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가들의 정보력 또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져 출하량이 일시에 몰리는, 홍수출하는 잘 발생되지 않는다.
과거와 같이 가격의 급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낮아졌는데 왜 농가들은 선제적 수급조절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일까?
농가들은 불안한 것이다.
한우산업 구조의 변화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한우의 자급률부터 살펴보면 50%를 넘던 한우고기의 자급률은 30% 선까지 주저앉았다. 국내시장에서 한우의 자리가 급격히 좁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수입육, 특히 미국산 쇠고기를 견제할 수 있는 그 어떤 보완대책이 없는 상황에서 한우는 급격하게 밀려나고 있다. 수출로 활로를 찾겠다고 하지만 아직까지는 시장 확대를 기대할 만한 수준이 안 된다.
출하하는 소의 가격이 생산비를 감안해 일정부분 보장된다면 농가들이 이렇게 불안해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송아지 공급도 과거에 비해 많이 불안해진 상황이다. 생후 6개월령 이상의 수송아지 한 마리 사려면 최소 400만원이 필요하다. 무척 부담스럽다. 송아지는 결국 한우농가에 있어 원료의 개념이다. 
한우는 출하 당시의 수급상황이나 그 외 요인들의 영향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농가들이 불안한 이유다.
선제적 수급조절에 대해 일부에서는 과도한 대응이라고 말하지만 중요한 논점은 그것이 아니다. 농가들이 불안해하고 있고,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없다는 것이다.
농가들이 모은 자조금으로 직접 수급조절을 하겠다고 나선 배경에는 그런 불안감이 깃들어 있는 것이다.
수입육 공세로부터 한우시장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 사료공급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비육우의 가격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 송아지의 안정적 공급기반을 구축하는 노력 등이 보여 지지 않기 때문에 농가들의 불안감은 더해지고, 미경산 암소 도태를 통한 선제적 수급조절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공은 농가들의 손을 떠났다. 어떤 방법으로든 정부가 한우산업을 보호할 의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농가들의 불안감이 다소나마 진정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