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한우

■기자수첩/ 부산물 이권다툼 누구를 위한 것인가?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농협음성축산물공판장이 소 부산물 처리 문제로 때 아닌 몸살을 앓고 있다.
음성공판장은 지난 13일 소 부산물 처리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설명회를 열었다. 소 부산물은 기존에 76명으로 구성된 부산물 유통업자와 수의계약을 통해 100% 유통이 이뤄졌다. 때문에 처리방식을 놓고 수차례 문제 제기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설명회에서 음성공판장은 고심 끝에 전체 물량 가운데 70%를 기존 유통 상인과 음성 관내 부산물 유통처리업자에게 배정하고, 10%는 도체를 구매하는 중도매인에게, 나머지 20%는 공개 입찰키로 했다는 방침을 밝혔다. 기준가격은 공개 입찰의 낙찰가격으로 정하기로 했다.
음성공판장으로서는 아마도 최선의 선택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날 설명회장은 기존 부산물 상인, 중도매인, 음성지역 업자들은 물론 고엽제전우회, HID동지회 등 실력행사를 하는 단체들까지 뛰어들면서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각 단체들은 저마다의 논리로 부산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지만 결국 그들이 원하는 것은 이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음성공판장은 소 내장의 가격을 80% 인상했다. 솔직히 80% 인상안이 통과된 배경에는 소 내장 유통에 많은 거품이 있다는 불편한 진실이 깔려있다. 수많은 이권 단체들이 소 부산물을 노리는 진짜 이유가 이 거품에 있다할 것이다.
기존상인들이 기득권을 주장하는 것도, 지자체가 도축세 대신에 요구하고 있는 것도 모두 알고 보면 소 부산물의 높은 유통마진으로 수익을 챙기겠다는 욕심인 것이다.
소를 도축하면 부산물은 자연히 공급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유통마진이 높은 부산물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한다는 것은 그만큼 돈을 벌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이권을 누가 쉽게 포기하고 싶겠는가.
사실 그들만의 싸움에는 관심이 없다. 다만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농가피해가 걱정이다.
농협음성축산물공판장은 하루 소 작업량이 400마리 내외지만 지금도 최소 3일 정도 계류를 거쳐야 도축이 가능할 만큼 물량이 많이 몰려있다. 기존에 이곳에서 거래하던 일부 쇠고기 유통업자들은 이번 부산물 배정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며 지난 16일부터 거래중단을 선언한 상태다. 지난주 음성공판장의 하루 거래물량이 평소보다 100두 가까이 줄어든 것도 이 때문이다. 작업두수가 줄어든 만큼 차상계류시간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 그들의 이권다툼으로 인한 피해는 애꿎은 농가가 보고 있는 셈이다. 굳이 얘기하면 부산물에 대한 권리는 농가에게 있다. 그들은 남의 물건을 가지고 서로 자신의 것이라고 우기며 싸우고 있는 것이다. 비감(悲感)이 느껴진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