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한우

“생산비 절감·유통구조 개선 선결과제”

권찬호 축산정책관, 소값 안정대책 브리핑 ‘눈길’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한우자급률 50% 달성, ‘시장점유율 높이기’ 우선

한우가격 폭락에 따라 한우적정 사육두수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농식품부가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혀 주목되고 있다.
최근 한우업계는 소 값 폭락이 과잉사육에 의한 것으로 진단하고 적정 사육두수를 목표로 몸집 줄이기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소비측면에서는 결국 한우소비자가격이 낮아질 수 있는 것을 생산량을 임의로 조정해 고가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의 목소리도 높다.지난달 26일 권찬호 축산정책관은 소 값 안정화 대책 관련 브리핑을 통해 적정 사육두수에 대한 의견을 피력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권 정책관은 “최근 한우가격 하락의 원인은 포화상태를 넘어선 한우사육두수와 소비부진에 있다고 분석된다. 현 소비수준에서는 한우사육두수는 230만~250만두가 적정수준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정부가 말한 한우자급률 50%의 자급률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서는 “자급률 50%를 위해서 현재의 사육두수도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무조건 사육두수를 늘리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한우의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답했다.
또한, 지금 현재도 소비자가격이 높다는 것이 대다수 소비자들의 견해라며, 사육두수를 줄여 안정적 가격을 유지한다는 것은 모순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농가의 생산비를 낮추는 것이 선결과제”라며 “곡물가격 인상으로 인한 사료값 상승 등을 감당해야 하는 축산농가들의 입장을 고려하면, 생산비를 낮추는 노력과 함께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소비자가격을 낮추는 것이 순서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내년 파격적인 조사료 정책 시행 등을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