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낙농

원유 생산 주춤…발효유·두유는 강세

■ 농축산부-농식품유통공사 발표 ‘가공식품 현황보고’를 보니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유량  ’02년 254만톤→ ’12년 211만톤으로↓
조제분유, 중국시장 수출 확대로 소비 증가
발효유, 건강식품 이미지 어필…생산량 늘어 

 

우유의 국내 생산은 정체 상태인 반면 발효유 및 두유의 생산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산식품유통공사가 발표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우유의 생산량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발효유 및 두유의 생산량은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유생산량의 경우 2002년 254만톤에서 2012년 현재 211만톤으로 오히려 생산량이 감소했고, 조제분유의 경우도 2002년 20만6천톤에서 2012년 18만2천톤으로 감소했다. 조제분유의 감소는 출산율의 감소와 모유수유 운동의 확산으로 수유가 줄어들었지만 최근 들어 기능성제품의 개발과 중국시장 수출 확대 등으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의 경우 국내시장의 10배인 연간 약 4조원의 시장규모를 갖고 있으면서 매년 10%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향후 수출이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조제분유 수출물량은 2000년 350만불에서 2012년 5천700만불로 급성장했고, 이 기간 조제분유의 대중국 수출실적은 2008년 298만9천불에서 2012년 3천909만4천불로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현재 국내 조제분유 수출에 있어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인 상황이다.
발효유는 2009년까지 생산이 감소했었지만 건강식품으로서의 이미지가 어필하면서 이후 급격히 생산량이 증가해 2012년 생산량이 2009년 대비 25%가 증가했다.
한편, 국내 원유 생산의 경우 10년 전에 비해 생산량이 17% 감소하였으나 2007년 이후로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시장상황이 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원유소비가 정체돼 있는데 반해 두유 시장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2008년 두유의 생산량은 17만8천350톤에서 2012년 26만8천184톤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