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열중 넷, “가장 필요한 대책” 지목
전국단위 쿼터·국산 유제품 육성 뒤이어
낙농가들은 가장 필요한 낙농대책으로 우유소비 확대를 꼽았다.
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가 발표한 ‘2015 낙농 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FTA 체제하에서 필요한 낙농대책으로 전체 응답자 가운데 41.5%가 제도적인 우유소비확대를 꼽았다. 이어 전국단위 낙농제도개선 24%, 국산유제품 시장 육성이 22.8%, 환경대책 마련이 10.8%로 그 뒤를 이었다.
목장경영에 있어 어려운 점에 대해서는 환경문제를 전체의 36.5%로 가장 많은 농가들이 꼽았다. 이어 부채문제 29.5%, 건강문제 13.1%, 여가시간 부족 등 복지문제 10.2%를 꼽았고, 후계자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농가도 8.8%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문제에 대해 농가들이 느끼고 있는 압박감이 얼마나 큰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합리적인 환경개선방안이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규제강화 일변도의 환경대책을 강요할 경우 상당수의 낙농가가 폐업을 강요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환경문제 가운데에서도 가장 시급한 것으로는 무허가축사(40.1%)를 꼽았다. 표본농가 가운데 무허가축사를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농가가 67.9%로 나타났다.
낙농가 부채문제의 심각성을 알아보기 위해 농가별 부채상황을 조사해 본 결과, 표본농가의 호당 평균 부채액은 2억4천4백만 원으로 2007년 이후 2억 원 이상의 고액부채를 안고 있는 낙농가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석진 소장은 “낙농업은 제도가 생산기반안정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으로 큰 산업이다. 하루속히 낙후된 현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낙농정책연구소가 지난 4월6일부터 6월15일까지 700호의 표본 농가를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 가운데 설문에 답한 594농가의 조사결과를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