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섭 원장(한국농촌경제연구원)=오는 2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이란 주제로 제2회 동아시아 농업논단 심포지엄 개최.
최윤재 교수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개방 문제로 전국이 뜨거운 논쟁 중이며, 인터넷상에서는 광우병의 위험성, 쇠고기 수입개방에 대한 찬반 논의의 열기가 식을 줄을 모르고 있다. 한우업계에서는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개방으로 한우산업이 말살위기에 직면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쇠고기 생산이력 시스템은 안전성이 확보되고 수입 쇠고기의 한우 둔갑 판매를 차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송아지가 출생해서 쇠고기로 소비자의 식탁에 올려 질 때 까지 질병, 생산과정, 도축위생과정 등 모든 소들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체계가 제대로 정착돼야 비로소 한우산업을 지켜나나갈…
박봉균(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산업동물 바이러스학) 가축질병에 대한 방역정책은 국가적 전략에 따라 고유한 방법으로 대책을 펴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육중 폐사축의 처리, 초기 방역조치, 감염축 유통 등 확산차단이 문제의 시작이라고 보면 양축가의 양심이 방역의 근본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구…
[축산신문] 윤요한 교수(숙명여대) ‘한강의 기적’. 전 세계가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의 믿을 수 없는 발전을 보고 일컫는 말이다. 대한민국 국민의 대부분은 이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한강의 기적을 통해 우리나라의 저력을 엿볼 수 있다. 2022년 6월 21일 대한민국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에 성…
[축산신문] 전중환 농업연구관(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시작하며 9월 10일은 민족의 명절인 추석이다. 추석은 음력 팔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고 할 정도로 풍요와 즐거움을 상징하는 대명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명절을 맞아 친지들과 함께하…
[축산신문] 정영철 대표 (㈜ 정피엔씨연구소) 세계 3대 돼지 생산지, 중국, 유럽, 미국이 사상 처음으로 동시에 돼지고기가 감산되는 유례없는 상황을 보이고 있다. ■ 미국 USDA 발표 6월 1일 기준 돼지 두수는 전년보다 모돈, 자돈 두수, 분만 복수 모두 감소했다. 더구나 총 사육 두수가 피크치를 보였던 2…
[축산신문] 양창범 제주대 석좌교수 이제 가을이다. 가을이 되면 자주 사용되는 표현 중의 하나가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다. ‘가을 하늘이 높으니 말이 살찐다‘라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국민 모두가 ‘풍성한 결실’을 기대하는 뜻으로 해석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말(馬)산업에 종사하는…
[축산신문] 윤요한 교수(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사람에게 먹는 즐거움은 포기할 수 없는 행복이다. 그래서 먹고 싶어도 먹지 못하는 것은 매우 괴로운 일이다. 특정한 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 음식을 가리게 되는데 식품 알레르기가 대표적이다. 세계적으로 특정 식품에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축산신문] 김현범 단국대 교수(생명자원학부 동물자원학전공) 농·축·수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전문인력 부족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2022년 한돈 농가 경영실태 조사에서도 인력 부족은 양돈업을 경영하며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로 조사됐다. 양돈 인력 부족은 지…
[축산신문]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1. 프롤로그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하여 취소되거나 미뤄졌던 국제학술대회들이 엔데믹(endemic) 분위기를 타고 하나둘씩 개최되고 있다. 동물행동학회도 개최된다는 반가운 소식을 접하고 부리나케 참가 신청을 마쳤다. 손…
[축산신문] 정영철 대표(정피엔씨연구소) 매년 12월은 지난 한 해를 돌아보고 새해를 설계하고 다짐하는 한 해의 마지막 달이다.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코로나 팬데믹 기간이 지속되면서 경제가 위축되고 사회분위기도 가라앉았다. 그나마 팬데믹이 끝을 보이자 세계 정부가 금융완화정책을 긴축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