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는 24일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해 국민 먹거리 공급망을 차질없이 유지하기 위해 농식품 분야 기능연속성(BCP)을 수립하고 민‧관 합동 추진단 회의를 개최한다.
확진‧격리자 증가로 인해 발생 가능한 도매시장 등 핵심시설 운영 중단과 같은 위기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현재까지 먹거리 공급망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가락시장 거래가 2차례 일부 중단되었던 사례 등을 고려하면 오미크론의 급속한 확산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농식품부는 현재 도매시장‧도축장 등 핵심시설의 확진자 상황, 거래‧처리물량, 시설 정상가동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위기상황 발생 시 농식품 기능연속성 계획에 따라 공급망을 차질 없이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축산물의 경우 모든 축산물이 필수적으로 거치는 도축장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만약 확진자 발생으로 도축장이 폐쇄될 경우 농협의 4대 공판장과 민간 대형 도축장을 중심으로 지역, 업체 간 처리물량을 분산한다는 계획이다.
농축산물 방역‧검역 등 대민 행정업무도 중단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가축질병 방역은 농장 예찰ㆍ점검에 민간 수의사를, 현장 이동통제에 지자체 예비인력을 투입할 방침이다. 농축산물 검역은 현장 검역 업무를 2인 1조에서 1인 근무로 전환하고 민간 전문가와의 정밀검역 협력 등으로 위기상황에 대응키로 했다.
농식품부 박순연 정책기획관은 “농식품 공급망 유지는 물류, 가공, 유통 등 민간 분야의 역할이 특히 중요한 분야로 민간과 긴밀하게 협력해 위기 상황에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