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현 축우R&D 박사(팜스코 축산과학연구소) 사육밀도에 따른 한우 거세우 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두당 사육면적이 10㎡일때가 8㎡일 때 보다 휴식시간 및 사료섭취 시간은 증가했고, 반대로 서있는 시간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몸을 긁거(Scratching)나 단장(Grooming)하는 시간 및 개체들 간에 투쟁(Fighting)하는 시간도 두당 사육면적이 넓은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두당 사육면적이 넓을수록 사료섭취 및 휴식을 충분히 취하고,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는 행동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즉, 우방 내의 사회적·환경적 스트레스가 감소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의 감소 및 행동의 변화로 인해서, 전체 실험기간 동안의 일당증체에서도 두당 사육면적이 넓은 처리구에서 더 높은 증체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에서는 비육우의 체중 및 바닥관리 조건에 따라서 두당 적정 수준의 사육면적 요구량을 제시하고 있다. 비육우의 체중이 클수록 더 넓은 사육면적을 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닥의 관리 조건에 따라서도 요구되는 두당 사육면적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바닥 관리가 어려
김두현 축우R&D 박사(팜스코 축산과학연구소) 한우 비육농장의 우사시설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큰 투자비용이 필요하고, 초기 투자비용을 빠르게 회수하기 위해서는 우사 내에 최대한 많은 비육우를 입식하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초기 투자비용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우사 면적에서 수익성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빈 우방이 없도록 최대한 많은 소를 우방에 체계적으로 입식하고 출하하는 사육 계획이 필요하다. 다만, 송아지 입식계획을 세울 때는 각각의 우사에 최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비육우 두수를 점검해보아야 한다. 입식부터 출하시기까지 밀사가 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육할 수 있는 두수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정해진 우사의 사육면적에서 사육두수가 늘어날수록 한우 한 마리가 확보할 수 있는 두당 사육면적은 좁아지고, 이는 동물의 편안함과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밀사가 되는 환경에서는 오히려 수익성 저하로 기대하는 만큼의 수익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고 투자비용을 회수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한우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사육밀도가 증가하면 가장 먼저 각각의 개체들이 휴식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에 제약을 받게 되고, 사료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