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신정훈 기자]
배합사료·조사료 가격 급등…정부 수급 대책 촉구
불합리 규제·제도개선 등 지역별 숙원 해결 다짐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일선축협 조합장들이 축산현안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어 주목된다.
시도별 축협조합장협의회는 3월 한 달 동안 일제히 회의를 갖고 축산현안을 점검하고, 국제 곡물 가격 급등에 따른 축산농가 부담 증가에 대한 대책, 가축방역 대책, 낙농 제도개선 대책, 군납제도 개선 대책 등 현안은 물론 가축사육 제한 등 환경 규제, 축협 조합원 제도개선 문제 등 다양한 숙원사항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경인축협운영협의회(회장 양기원·포천축협장)가 지난 3월 10일 협의회에서 축산물 군 급식 공급체계, 축사 인허가 제한 문제, 가축분뇨 처리 다양화를 위한 지원, 낙농 제도개선 등에 대해 논의했다. 조합장들은 이날 생축 담보를 통한 사료 공급제도 보완의 필요성과 함께 축산물 군 급식 제도 유지에 입을 모았다. 또 축협 직원 채용에 해당지역 인력 우선 채용을 건의했다.
전북축협조합장협의회(회장 김사중·고창부안축협장)는 지난 3월 15일 협의회에서 스마트축산, 클린축산 추진 결의문을 채택하고 스마트축산 육성을 역점 추진, 불결한 축사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력하고 가축분뇨 처리와 관리에 적극 앞장 서기로 다짐했다. 이어 한우 수급 문제와 관련해 선제적 대응 방안과 가축방역과 관련한 문제점, 낙농 제도개선을 둘러싼 낙농가들의 어려움,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 가격 인상 등 축산농가들의 애로사항에 대해 논의했다.
대전충남축협조합장협의회(회장 천해수·아산축협장)도 지난 3월 21일 협의회를 열어 곡물 가격 폭등을 비롯해 축산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조합장들은 사료가격 안정을 위한 강력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점포 개설 시 지역농협의 반대가 크다며 농협중앙회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외국인 근로자가 출국 후 재입국 시 해당 사업장으로 돌아갈 수 있는 대책 마련과 함께 축산가업 승계에 따른 상속세와 증여세 면제를 새정부에 건의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강원축협조합장협의회(회장 엄경익·횡성축협장)는 지난 3월 25일 협의회에서 강원도 축산물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판매채널 확대 방안, 군 급식제도 개선에 따른 선제적 대응 방안, 아프리카돼지열병(ASF)·AI 등 가축전염병 차단방역 활동 등에 대해 토의했다.
전남광주축협조합장협의회(회장 이성기·순천광양축협장)는 지난 3월 25일 협의회에서 농협사료 전이용 농가 가축재해보험 자부담금 지원, 선제적 수급 조절 정책 참여 농가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대구경북축협조합장협의회(회장 이상문·의성축협장)도 지난 3월 15일 협의회에서 축협 조합원 관련 제도개선 및 가축분뇨법 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부산울산경남축협조합장협의회(회장 조양수·진주축협장)는 지난 3월 31일 협의회에서 축협 조합원 제도 개선과 조합원 하한선 현실화와 함께 가축분뇨법 개정을 통한 사육 규제의 합리적인 규정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또 수입 조사료 공급 난항과 국내산 볏짚 품귀 등 조사료 수급 불안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배합사료가공조합장협의회(회장 진경만·서울축협장)도 지난 3월 15일 협의회에서 배합사료 시장 분석과 가격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