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 크게 줄어

주택거래량 감소‧1인가구 증가 등이 원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가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2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이 함께 발표한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은 각각 33만1천180가구, 43만8천12명으로 전년 대비 12.3%, 15.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가구는 1만2천411가구, 귀촌은 31만8천769가구로 전년 대비 13.5%, 12.3% 줄었다.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48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4.7% 감소하고 주택거래량도 49.9% 감소하면서 귀농·귀촌 인구도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귀농·귀촌 1인 가구의 비율이 2021년 75.2%에서 지난해 77.5%로 상승하며 평균 가구원 수가 감소한 것도 귀농·귀촌 인구수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2020년과 2021년에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여파 등으로 인해 귀농·귀촌 인구가 2년 연속 증가(전년 대비 각각 7.4%, 4.2%)한 후, 지난해에 서비스업 중심으로 도시지역의 경기가 회복된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꼽혔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농촌 생활 경험을 가진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등 은퇴 연령층 증가,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의 영향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견고하게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 박수진 농업정책관은 “최근에는 일과 삶의 균형, 농촌살기, 워케이션(work+vacation) 등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도시민이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으로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