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희 의원(새누리당,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은 지난달 30일 ‘여성농업인의 역할 강화를 위한 지원과 정책과제’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여성농업인이 적극적으로 경제적·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관련기관이 협조하도록 독려하는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나라 여성농업인이 농업인구의 51.4%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46.8%가 무급가족 노동자에 머물러 있다”고 여성농업인들이 처한 열악한 현실을 언급하며, “이번 국제세미나를 통해 여성농업인의 역할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과제가 마련되어 여성농업인이 ‘농업의 6차 산업’을 이끌어갈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첫 번째 주제발표자인 정은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는 ‘한국 여성농업인 지원체계와 정책 과제’라는 주제로 여성농업인 지원체계와 정책 과제 등을 설명하면서, “여성농업인이 일하기 편한 환경을 조성하여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M 라우프 사이디 LADYSS-CNRS 연구원은 ‘프랑스 여성농업인 지원 제도와 정책’이라는 주제로 프랑스 여성농업인의 사회적 지위가 개선된 절차, 농업 관련 부처의 주요 계획, 여성농업인에 대한 사회보장제도, 여성농업인의 지위가 개선된 요인 등에 대해 발표했다.
삐올라 베르톨리니 Modena대 교수는 ‘이탈리아 여성농업인 지원 제도와 정책’에 대해 발표하면서 “이탈리아 여성농업인이 인정받게 된 요인은 EU와 국내의 지원정책, 협동조합, 소비의 진화와 소비자 운동, 생산자단체의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하며 이탈리아 여성 농기업의 주요 특징 등에 대해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카와테 토쿠야 일본대학 교수는 ‘일본 여성농업인 지원 제도와 정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일본은 1992년 여성농업인 중장기 비전발표로 경영이 다각화되고 여성농업인이 6차 산업의 주체자로 부각되었다”고 언급하며, 가족경영협정을 기초로 농촌여성 기업이 추진되고 있는 사례 등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