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시세를 보면 쇠고기 광우병 파동으로 인한 쇠고기 안전성에 불신과 국내 물가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과 공급량 증가로 인해 전체적으로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일반 서민층이 선호하는 한우 거세우 2등급, 3등급 정육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2등급과 3등급가격이 전년동기대비 2등급 87.3% 3등급 74.3%로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7월 도축두수는 전월대비 115.5%증가했으며, 축종별로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116.4%(암소 122.9%,수소 105.9%, 거세우 113.8%), 육우는 전월대비 112.1%(암소 116.2%,수소 95.6%, 거세우 114.5%), 젖소(암)는 113.3% 증가했다. 경락시세를 보면 한우 거세우 1+이상은 보합세, 1등급~2등급 약보합세, 3등급은 약세를 보였으나, 육우 거세우는 출하두수 증가로 인해 경락가격이 전월대비 3%~11.2% 가격이 하락했으며, 2등급은 전월대비 4.9% 하락했다. 음식점 원산지 표시 실시에 따른 영향으로 1++등급은 전월대비 11.2% 하락했다. 최근 시세를 보면 등급간에 경락가격차이가 더 커지고 있으며, 실제로 7월 경락가격 기준으로 계산하면 한우 거세우는 3C등급 지육경락단가를 100으로 보았을 때 1++A등급의 시세를 보면 2007년 201.9%, 2008년 254.1%이다. 육우 거세우는 3C등급대비 1++B등급의 시세를 보면 2007년 196.6%, 2008년 212.6%이다. 미산 쇠고기 재개 영향 및 한우 거세우 도축두수 증가, 소비량 감소로 인해 한우 비거세우는 8월 8일 현재 생체 kg당 5천700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또한 사료가격 상승, 미산 쇠고기 수입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인한 한육우 사업에 불확실성으로 인해 송아지 입식을 자제하면서 암송아지 수송아지 가격이 하락해 2008년 8월초 기준 암송아지는 127만원~140만원, 수소는 140만원 ~ 146만원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첫째, 공급적인 측면 1. 하반기 도축두수 증가( `08년 2/4분기 비육후기 사료생산량 전년동기대비 122%) 및 도체중 증가에 따른 국내산 쇠고기 생산량 증가.(도축두수 `08년 7월 누계 전년대비 108.8%, 한우 전년대비 115.6%) 2. 한우 거세우 출하두수(`08년 7월 누계 수소 중 거세우 출하비율 68.06%), 암소 도축두수 증가(7월 도축두수 전년대비 122.9%, 암소 도축율 46.6%) 3. 1+이상 등급 출현율 향상에 따른 1+이상 쇠고기 공급량 증가 (1++ : `07년 7월 9.6% `08년 7월12.0%, 1+ : `07년 7월 27.6% `08년 7월 29.7%) 4. 갈비 포함한 미산 쇠고기 수입재개에 따른 미산 쇠고기 수입량 증가 예상 5. 전체적인 도축두수 증가에 따른 쇠고기 생산량 증가와 미산 쇠고기 수입재개로 인한 수입량 증가로 공급량이 과다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수요측면 가. 긍적적인 측면 1. 개학에 따른 급식 재개 2. 정육점 식당 증가에 따른 한우 소비층 증가. 3. 고급육 선호층 소비 유지 4. 유통업체 추석물량 준비로 인한 수요 증가 5.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전면실시에 따른 한우 안전성 홍보 나. 부정적인 측면 1. 소비자 물가 급상승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인한 소비량 감소 지속(특히 2등급~3등급) 2. 부산물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전월대비 9.1%~16.4%하락) 셋째. 시세 예상 상기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전체적으로 쇠고기 공급량은 국내 생산량 증가와 미산 쇠고기 재개에 따른 수입량 증가로 공급량이 과다할 것으로 보이며, 반면에 물가 상승에 따른 경기 어려움을 소비가 위축되어 소비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로 인해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며, 한우 거세우 등급별 가격을 예측하면 고급육 1++~ 1+는 보합세, 1등급은 보합세 ~약보합세로 예상되며, 2~3등급은 약보합세~약세로 예상이 된다. <천하제일사료 축우P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