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용 교수(상지대)중동호흡기중후군(MERS·메르스)이 대한민국 국민들을 더운 여름철에도 마스크를 쓰고 답답하게 거리를 걷게끔 한지도 벌써 두 달이 되고 있으며, 이제 서서히 그 어려운 상황에서 빠져나오는 듯 싶다. 그동안 안전하던 대한민국은 그동안 불명예스럽게도 세계 제2의 메르스 감염국으…
윤성식 교수(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해외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국내로 입국한 이후 지난 한 달여 동안 우리는 과거 경험하지 못했던 신종 바이러스가 병원을 중심으로 빠르게 전파되는 바람에 모든 사회활동이 거의 마비되는 진통을 겪었다. 그것도 국내 최고의 병원으…
김정주 명예교수(건국대 국제통상학부)한국은 2015년 6월 현재 칠레를 비롯한 미국, EU 등 49개 나라와의 FTA가 발효 중이고, 중국, 베트남, 뉴질랜드 등 4개 국가와의 FTA가 서명 된 상태이다. 특히 2014년 11월에 전격 타결된 한·중 FTA는 그야말로 전광석화 같은 일이었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 유럽…
정영철 대표((주)정피엔씨연구소)돼지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특성을 표현하고 통제하기 위해서 맛 품질(eating qualit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지금까지 많이 알려진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로 육색, 마블링 스코어, 수분을 함축하는 능력인 보수성 또는 72시간 후의 수분 손실량(드립로스…
김진만 원장(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지난 주말, 모처럼 집 근처에 있는 영화관을 방문하여 한창 유행하고 있는 ‘어벤져스 2’라는 헐리우드 영화를 보았다. 인류를 멸망시키고자 하는 적에 맞서 헐크 같은 지구의 슈퍼 영웅들이 힘을 합쳐 물리친다는 단순한 이야기 구조의 영화였다.나는 이 영화가 지난 4월…
류경선 교수(전북대)가금류에 LED를 적용하면 전기비용 절감과 생산성 개선으로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LED 점등하에 닭들이 안락하게 살아갈 수 있을까?동물에서 파장의 감응정도는 인간과 다르게 나타나므로 축사에서 농장주는 최적의 파장, 조사(광도), 소리변화를 통하여 동물에게 건강하고…
신창섭 회장(한국양돈수의사회)최근 몇 년간 봄가을이 짧아진 느낌이지만 올해 날씨는 FMD 여파로 겨울 냉골에서 어느 새 더운 뙤약볕으로 옮겨진 기분이 든다. 따스한 날씨와 더불어 그동안의 효과적인 민.관 공조의 강력 방역조치로 FMD 이야기도 조금씩 수그러드는 모양이다.양돈장에 질병이 큰 문제가…
윤성식 교수(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유럽에서 연구년을 보내고 있을 때다. 실험으로 쌓인 스트레스를 풀 겸 주말이면 가끔 열차에 몸을 실었다. 벽안의 유럽인들은 내게 일본인이냐는 질문을 자주 던졌다. 내심 중국인이냐고 묻지 않을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하면서도 잘사는 한국인이냐고 묻는 사람이 없어…
박용호 교수(서울대 수의과대학)원유의 품질을 결정하는 위생등급제도가 국내에 정착한 역사는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지방 함유량으로만 유대를 지불하는 고전적 방법에서 탈피한 위생등급제도는 공교롭게도 일명 ‘고름우유’ 사건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 빛을 보게 되었다. 선진 낙농국에서와 같은…
정영철 대표(정피엔씨 연구소)세계 주요 돈육 수출국가의 돈가가 브라질을 제외하고는 2015년 초부터 하락하고 있다. 특히 세계 3대 돈육 수출국인 유럽연합, 미국, 캐나다의 2015년 1분기 돈가가 크게 하락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전년 동월보다 14%, 미국은 20%씩 각각 낮았다. 특히 미국의 4월 돈가는 전…
양 창 범 박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지난 4월 13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2014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평균 육류 소비량은 42.7kg이다. 이는 한사람이 하루에 약 117g을 먹는 셈으로, 30년 사이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육류소비량은 비단 우…
류경선 교수(전북대)1. 농업에 LED 적용 배경2030년에 식품 수요는 지금보다 약 2배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수요를 충당하려면 생산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을 증대하고 생산비용을 낮추려고 노력할 것이다. 대부분의 그러한 최신 기술에는 물, 공기, 영양, 축사 등이 다양하게 포함되어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