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성 식 교수(연세대학교)‘이xx PD가 간다, 그릭요구르트’라는 프로가 불면에 시달리던 필자의 시선을 끌었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 유제품 업계가 판매부진으로 불황에 허덕이던 참이어서 그 방송에 더 호기심이 많았다는 표현이 적절하겠다. 그러나 방송을 보고난 다음 가슴이 답답해지고 한숨이 나왔다…
김진만 교수(건국대 축산식품공학과)인구 20억 명에 달하는 무슬림을 대상으로 한 식품시장이 최근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기존 할랄(Halal)식품을 섭취해 왔던 무슬림과 더불어 안전하고 청결한 음식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할랄 식품을 찾는 비무슬림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할랄(Ha…
박용호 교수(서울대 수의과대학)최근 조류인플루엔자, FMD 등 국가 재난형질병의 창궐에 따른 감염병과 더불어 일본 후쿠오카 방사능 오염, 비식용 달걀의 식품사용, 봄철 식중독감염 등에 따른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품은 우리가 매일 접하는 것이니만큼 조그마한…
신창섭 회장(한국양돈수의사회)지난해부터 시작된 FMD 발생은 아직까지 멈추지를 않는다. 봄은 다가오지만 아직 축산현장은 춥다.질병이 발생하는 있는 현장이나 대책을 마련하는 정부나 차단방역을 이야기하고 있다. 양돈장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차단방역은 언뜻 느껴지기에 번거롭고 비용만 드는 것으로…
정영철 대표((주)정PC연구소)한국형 종돈의 정의는 무엇인가?산자수 등 번식성적과 일당 증체중 등 산육성적이 최소한 수입종돈과 동일한 수준이거나 격차가 난다면 따라잡는 계획과 기간을 설정해 잠재적으로 외국산 종돈과 동일한 수준에 도달 할 수 있는 종돈일 것이다.우선 2013년 기준 덴마크와 한국…
주선태 교수(경상대학교 축산학과)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조합장 선거가 끝났다. 전국 1326개의 농·축협, 수협, 산림조합은 새로운 조합장의 선출을 끝내고 이제 새로운 시대를 시작한다. 하지만 그동안 선거운동 과정에서 드러났던 수많은 불미스러운 일들로 인해 각 조합들의 앞날이 순탄해보이지만은 않…
정영철 대표(㈜정피엔씨연구소)FMD 발생 숫자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매일 1~2건씩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월 말 현재, 소농장 4개소 포함 116개농장에서 발생해 총 10만여두가 살처분 되었다. 지난해 12월 3일 첫 발생으로부터 2개월이 지나도 점차 감염지역이 확대되면서 생산자 입장에서 두 가지…
이중복 교수(건국대 수의과대학)충북 진천에서 발생한 FMD가 현재 경북, 경기도, 충남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4년 전 FMD 발생과 다른 점은 전국적으로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4년 만에 FMD가 발생하자 필자를 포함한 전문가 그룹은 이 발생의 원인이 백신 접종을 철저하게 하지…
양 창 범 박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국민의 행복을 지켜주는 원초적인 힘은 무엇일까? 그것은 식량의 안정적인 공급이다. 2013년 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8억 6천여만명이 매일 배고픈 채로 잠이들고, 어린이 4명 중 1명(6억 6천여만명)은 영양실조로 성장을 저해당하고 있고, 1억명은 표준체중…
신창섭 회장(한국양돈수의사회)현재 우리나라 축산업은 국지적 전염병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관리를 요하는 FMD라는 질병에 몸살을 앓고 있다. 현장에서 이것과 직접 맞닥뜨려야만 하는 축산농가들은 이번 겨울이 한파주의보와 함께 더없이 차갑다.FMD는 바이러스가 원인체로 발굽이 두개로 갈라진 우제류…
주선태 교수(경상대학교 축산학과)2015년 을미년(乙未年) 양(羊)띠 해가 밝았다. 지난해 우리 축산업계는 말(馬)띠 해라 그랬는지 말이 많고 시끄러웠던 한 해였지만 올해는 양띠 해를 맞아 하늘 높이 비상하는 양양(揚揚)한 일 년이 되길 소망해본다. 하지만 양이 천성적으로 온순하고 약해보여서 그런지 거…
정영철대표((주)정PC연구소)“FTA 강국, KOREA.”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우리와 FTA가 발효중인 국가는 미국, 유럽연합 등 11개국, 서명/타결 국가는 중국, 베트남 등 4개국으로 실제 세계에서 유래없는 15개국이라는 많은 국가와 무역자유화협정(FTA)을 체결한 국가가 되었다. FT…